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녹내장 예방을 위한 건강한 습관
    건강 2024. 8. 3. 10:00
    728x90
    300x250

    안녕하세요~~~ 댕댕쓰입니다.

    오늘은 녹내장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
     

    녹내장(Glaucoma)은 시신경에 손상을 주어 시야가 좁아지거나 실명에 이를 수 있는 눈 질환입니다. 주로 눈 내부의 압력 상승으로 인해 발생하지만, 다른 원인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    🍀 녹내장의 종류

    🌺 개방각 녹내장 (Open-Angle Glaucoma)

    • 특징 : 가장 흔한 형태로, 눈 내부의 수액이 정상적으로 배출되지 않아 압력이 상승합니다. 초기에는 증상이 거의 없고, 서서히 시야가 좁아집니다.
    • 원인 : 유전적 요인, 나이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합니다.

    🌺 폐쇄각 녹내장 (Angle-Closure Glaucoma)

    • 특징 : 홍채가 각막과 접촉해 수액의 배출이 차단되는 경우 발생합니다. 갑작스러운 통증, 두통, 구역질, 시력 저하 등의 급성 증상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.
    • 원인 : 눈의 해부학적 구조적 이상이나 유전적 요인으로 인해 발생합니다.

    🌺 이차성 녹내장 (Secondary Glaucoma)

    • 특징 : 다른 질환이나 외부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녹내장입니다. 당뇨병, 포도막염, 눈의 외상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.
    • 원인 : 기본 질환이나 약물의 부작용 등 다양한 원인이 있습니다.

    🌺 선천성 녹내장 (Congenital Glaucoma)

    • 특징 : 태어날 때부터 존재하는 형태로, 유전적인 요인으로 인해 발생합니다. 주로 신생아에서 발견되며, 조기에 진단하고 치료하지 않으면 시력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
    • 원인 : 유전적 결함으로 인한 눈의 구조적 이상이 원인입니다.

    🌺 정상안압 녹내장 (Normal-Tension Glaucoma)

    • 특징 : 안압이 정상 범위(21mmHg 이하)임에도 불구하고 시신경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입니다. 이는 혈류 공급 부족이나 시신경의 민감성 증가 등이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.
    • 원인 :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, 유전적 요인과 혈압 문제 등이 관련될 수 있습니다.

    🍀 녹내장의 증상

    🌺 시야 손실

    • 주변 시야 감소 : 개방각 녹내장의 경우, 주변 시야가 점차 좁아지는 현상이 나타납니다. 이로 인해 주변 사물이 보이지 않게 될 수 있습니다.
    • 터널 시야 : 시야의 중심 부분은 남아 있지만, 주변 시야가 점점 좁아져 터널처럼 보이는 상태가 될 수 있습니다.

    🌺 중심 시야 손실

    • 시력 저하 : 병이 진행됨에 따라 중심 시야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, 이는 일상적인 활동에 큰 영향을 줍니다.

    🌺 두통

    • 눈 주위 통증 : 녹내장이 급성으로 진행되는 경우, 특히 폐쇄각 녹내장에서 심한 두통이나 눈의 통증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.

    🌺 빛에 대한 민감성

    • 빛의 회절 : 빛을 볼 때 주변에 고리처럼 보이는 현상(halos)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. 이는 시신경에 압력이 가해질 때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    🌺 시력의 갑작스러운 변화

    • 시력의 급격한 저하 : 폐쇄각 녹내장에서는 갑작스러운 시력 저하가 나타날 수 있으며, 이는 응급 상황으로 간주되어 즉각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.

    🌺 구역질 및 구토

    • 심한 통증과 함께 발생 : 폐쇄각 녹내장에서는 심한 통증과 함께 구역질이나 구토가 동반될 수 있습니다.

    🌺 시각적 왜곡

    • 사물이 왜곡되어 보임 : 물체의 모양이나 크기가 왜곡되어 보이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.

    🍀 녹내장의 원인

    🌺 안압 상승

    • 눈 내부의 압력 : 녹내장의 가장 일반적인 원인으로, 눈 내부의 수액(유머)의 배출이 원활하지 않아 압력이 상승합니다. 높은 안압은 시신경에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.

    🌺 유전적 요인

    • 가족력 : 녹내장은 유전적인 경향이 강한 질환입니다. 가족 중에 녹내장을 앓았던 사람이 있는 경우, 발병 위험이 증가합니다.

    🌺 노화

    • 연령 : 나이가 많을수록 녹내장 발병 위험이 높아집니다. 특히 40세 이상의 성인에서 더 많이 발생합니다.

    🌺 혈류 문제

    • 혈액 공급 부족 : 시신경에 충분한 혈류가 공급되지 않을 경우, 신경이 손상될 수 있습니다. 이는 정상안압녹내장과 관련이 있습니다.

    🌺 기타 안과 질환

    • 기타 질환 : 포도막염, 백내장, 당뇨병 등 다른 눈 질환이 녹내장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.

    🌺 외상

    • 눈의 외상 : 눈에 가해진 외상이나 부상이 녹내장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. 특히 이차성 녹내장으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.

    🌺 특정 약물

    • 스테로이드 사용 : 장기적으로 스테로이드를 사용하는 경우, 녹내장 발병 위험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.

    🌺 생활습관

    • 흡연 및 음주 : 흡연과 과도한 음주는 눈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, 녹내장 발병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.

    🍀 녹내장의 진단

    🌺 안압 검사 (Tonometry)

    • 목적 : 눈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여 녹내장 여부를 확인합니다.
    • 방법 : 다양한 방법이 있지만,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공기 압력을 이용한 비접촉식 검사입니다. 이 검사로 안압이 21mmHg 이상이면 녹내장 위험이 높아집니다.

    🌺 시야 검사 (Perimetry)

    • 목적 : 시야의 범위를 평가하여 손상이 있는지를 확인합니다.
    • 방법 : 환자가 화면을 바라보며 빛이 나타나는 위치를 확인하는 방식으로, 주변 시야의 결손 여부를 파악합니다.

    🌺 시신경 검사 (Optic Nerve Examination)

    • 목적 : 시신경의 상태를 평가하여 손상의 정도를 확인합니다.
    • 방법 : 안저검사(ophthalmoscopy)를 통해 시신경의 모양과 색상, 손상 여부를 관찰합니다. 시신경 유두의 변화를 통해 녹내장을 진단할 수 있습니다.

    🌺 각막 두께 측정 (Pachymetry)

    • 목적 : 각막의 두께를 측정하여 녹내장 위험을 평가합니다.
    • 방법 : 각막의 두께가 녹내장 발병 위험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, 두께를 측정하여 분석합니다.

    🌺 전방각 검사 (Gonioscopy)

    • 목적 : 눈의 전방각을 평가하여 폐쇄각 녹내장 여부를 확인합니다.
    • 방법 : 특별한 렌즈를 사용하여 각막과 홍채의 경계를 관찰합니다. 이를 통해 유체의 배출 경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    🌺 영상 검사 (Optical Coherence Tomography, OCT)

    • 목적 : 시신경 섬유층과 망막의 구조를 고해상도로 촬영하여 분석합니다.
    • 방법 : 비침습적인 방법으로, 시신경의 두께와 상태를 정밀하게 평가할 수 있습니다.

    🍀 녹내장의 치료

    🌺 약물 치료

    • 베타 차단제 : 안압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을 줍니다.
    • 프로스타글란딘 유도체 : 수액의 배출을 촉진하여 안압을 낮춥니다.
    • 알파 아드레날린 작용제 : 수액의 생산을 줄이고 배출을 증가시킵니다.
    • 탄산 탈수효소 억제제 : 수액의 생성을 억제하여 안압을 낮춥니다.

    🌺 레이저 치료

    • 레이저 트라베큘로플라스티 : 눈의 배출 경로를 개선하기 위해 레이저를 사용하는 방법입니다. 주로 개방각 녹내장 치료에 사용됩니다.
    • 레이저 이리도토미 : 폐쇄각 녹내장에서 홍채에 구멍을 만들어 수액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치료입니다.

    🌺 수술

    • 필터링 수술 : 눈 안의 수액이 배출되는 경로를 새로 만들어 안압을 낮추는 수술입니다. 일반적으로 약물이나 레이저 치료로 효과가 없을 경우 시행됩니다.
    • 세극창 수술 (Trabeculectomy) : 눈의 외부로 수액이 배출되도록 하는 수술로, 장기적인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.
    • 임플란트 수술 : 배출 경로를 개선하기 위해 작은 임플란트를 삽입하는 방법입니다.

    🌺 생활습관 개선

    • 정기적인 검진 : 정기적인 안과 검진을 통해 녹내장을 조기에 발견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    • 건강한 식습관과 운동 : 균형 잡힌 식사와 규칙적인 운동은 눈 건강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.

    🍀 녹내장의 예방

    🌺 정기적인 안과 검진

    • 정기적인 검진 : 특히 40세 이상이거나 가족력이 있는 경우, 정기적으로 안과 검진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. 조기 발견이 시력 보호에 큰 도움이 됩니다.

    🌺 건강한 생활습관

    • 균형 잡힌 식사 : 신선한 과일과 채소, 오메가-3 지방산이 풍부한 음식을 포함한 건강한 식사를 통해 눈 건강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.
    • 규칙적인 운동 : 적절한 운동은 전반적인 건강에 좋으며, 안압을 낮추는 데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.

    🌺 체중 관리

    • 체중 조절 : 비만은 녹내장 발병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, 건강한 체중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
    🌺 혈압 및 혈당 관리

    • 혈압 및 혈당 조절 : 고혈압이나 당뇨병은 녹내장과 관련이 있으므로, 이를 관리하는 것이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.

    🌺 흡연과 음주 자제

    • 흡연 중단 : 흡연은 눈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, 금연하는 것이 좋습니다.
    • 절주 : 과도한 음주는 눈 건강에 해로울 수 있으므로, 음주를 적당히 조절해야 합니다.

    🌺 자외선 차단

    • 햇볕 차단 : 자외선은 눈에 해로운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, 외출 시 선글라스를 착용하여 눈을 보호하는 것이 좋습니다.

    🌺 스트레스 관리

    • 스트레스 줄이기 : 스트레스는 전반적인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, 스트레스를 관리하고 이완하는 방법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.

    녹내장은 조기에 발견하고 치료하면 시력을 보호할 수 있는 질환입니다. 정기적인 검진과 건강한 생활습관을 통해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
     

    이상 댕댕쓰였습니다~~~

    728x90
    300x250

    '건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    과도한 땀, 다한증이란?  (153) 2024.08.08
    건강한 변의 특징과 유지 방법  (78) 2024.08.01
    편도염의 이해, 급성 편도염의 모든 것  (123) 2024.07.19
Designed by Tistory.